음..2000년대만 하더라도 피자라는 단어는 어색한 느낌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피자하면 비싼음식으로 인식 했지만 지금은 어린이들의 주식(?)이 피자일 만큼 많이 먹는 음식이기도 합니다. 주말에 주문을 하다보면 가령 도미노피자 배달시간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할때가 있더군요. 자정 넘어서 배달이 되는지 궁금하기도 하구요. 일단 배달시간을 확인하려면 검색포털에서 지도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고 공식사이트에서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검색 포털에서는 근처의 피자업체를 검색하면 아래그림과 같이 나오는데요. 위의 그림과 같이 전화/주소 밑에 영업시간이 있습니다. 대부분 10:30분까지 하고 영업을 종료하는걸로 보이는데요. 영업 개시시간은 11시로 동일하네요. 즉, 대부분 도미노피자 배달시간 오전 11:00에서 ..
자녀들이 성인이 되면 경제적 기반을 마련해주기 위해 집을 마련하여 증여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2000년대 전에는 대가족이 같이 살다보니 그럴일이 없었지만 현재는 단독 가정이 많아서 증여를 하는 경우가 흔한일이 됐습니다. 문득 떠오르는게 증여세 면제한도는 얼마정도일까 궁금해집니다. 이에 관련하여 몇가지 알아봤습니다. 일단 증여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증여는 명칭*형식*목적에 관계없이 경제적 가치를 계산할수 있는 재산을 타인에게 무상으로 이전하는것을 말합니다. 또는 기여를 통하여 타인의 재산을 증가시키는 것도 증여에 포함됩니다. 여기서 증여세라고하면 타인의 증여에 의해 재산을 취득한 자에 대해 과하는 세금을 뜻하게 됩니다. 흔히 증여세는 10년을 기준을 두고 봐야합니다. 증여재산공제 한도는 10년간 누계한..
예전에는 직장이란게 한번 취직하면 정년이 될때까지 일할 수 있었는데요. 요즘에는 투잡, 쓰리잡등이 일상단어로 여길 정도로 취직/퇴직이라는 말이 어색하진 않습니다. 직장에서 근무를 해도 퇴직금을 지급을 받을 수 있고 못 받는 경우도 생기는데요. 이 퇴직금 지급기준이 어느것이 있는지 정리해볼까 합니다. 간단한 방법은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라는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데요. 다른 검색포털에서 찾기쉬운 생활법령이라고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나올겁니다. 확인하고 접속합시다. 접속하면 메인화면 오른쪽에 보시면 검색란이 있는데 검색어에 "퇴직급여"라고 검색을 하시면 아래 그림과 같이 검색결과가 나올겁니다. 검색해보시면 결과란 바로 밑에 [생활법령]란에 퇴직급여제도라고 있을겁니다. 확인하고 마우스 왼쪽버튼으로 클릭해봅시다...
일을 하지만, 많은 소득이 적어서 생활하는데 여려움이 있는 근로자 가구에 대해서 근로를 장려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취지에서 하고 있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제도입니다. 음… 만일 근로장려금자격조건에 부합한다면 유선상으로 전화가 오기도 하는데요. 안내문을 수령하지 않은 분들은 한번 계산을 해보시면 받을 수 있는지 알 수있지요. 대략적으로 보면 만50세이상 또는 18세미만 부양 자녀가 있거나 단독가구는 1300만원, 외벌이 가족은 2100만원 맞벌이 가족은 2500만원 미만의 총소득 기준금액이여야 가능합니다. 이때 말하는 총소득은 [사업소득+근로소득+기타소득+이자*배당*연금소득]을 말하는데요.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총소득 = 사업소득+근로소득+기타소득+이자*배당*연금소득* 사업소득 = 총수입금액* 업종..
최근들어 외국 쇼핑몰에서 구매하는 사람들 즉, 직구족이 그리 어색한단어는 아닙니다. 필자도 국내에서 팔지 않은 카메라 부품을 외국에서 주문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구매완료하고 받는게 추적번호[Tracking Number]입니다. 이 번호는 EMS배송조회시 우편물번호로 사용되는데요. 이에 대해서 몇가지 적어볼까합니다. 음...일단 추적번호부터 알아볼까요? 추적번호...Tracking Number이라고 하죠?? 외국 쇼핑몰 같은경우는 해외로 택배물을 배송하는게 드문일은 아니기 때문에 콩글리시로 "오~! 추적번호 알려주쉐요~"라고 하면 대부분 "OK, Tracking Number is…."하고 알려줍니다. 다만 예외도 있는데요. 중국같은경우는 주로 이코노미 배송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은 저렴하나 추적번호가 없습..
음..자동차를 오래 타다보면 차량등록증이 낡아서 찢어지는경우가 생기는데요. 이럴때 차량등록증 재발급을 신청하게 됩니다. 뭐...가까운 구청에서도 발급가능하지만 온라인에서도 가능합니다. 필자도 오래된 차량을 운전하기 때문에 차량등록증이 오래됐지만 봉투에 넣어서 보관하기 때문에 재발급한적이 한 번있네요. 하하:D 온라인으로 발급 받는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검색 포털에서 민원24를 검색하고 접속합시다.그럼 화면 왼쪽에 보시면 테마별민원이 있습니다. 확인하고 클릭합시다. 여기서 보시면 여러가지를 테마를 중심으로 정렬해놓고 있습니다. 고객들이 주로 이용하는 민원들만 정렬 해놓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민등록등본 재발급이면 왼쪽 첫번째에 주민등록을 눌러보시면 바로 밑에 있습니다. 이번 주제는 차량에 관련되어 있으니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