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기란? 황기,학명으로는 Astragalus membranaceus라고 불려지는데요. membranaceus는 '세포막'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Astragalus는 '복사뼈'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직역하면 복사뼈 모양의 세포막이라는 말이되는데요. 필자생각에는 황기를 반으로 자르면 내부 모양이 복사뼈 내부와 유사해서 Astragalus membranaceus 단어가 만들어 진것 같습니다. 황기는 콩과에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며, 주로 양지바른 산지에서 자라는데 주로 경사가 가파른 산비탈지역 또는 바위틈에 자랍니다. 하지만 이는 야생 황기인경우이며 대량재배는 산과 들에서 밭에 길러서 재배합니다. 재배한 황기보다 야생상태인 황기가 효과가 뛰어나다는 설이 있는데 이는 허구에 가까운..
■ 잔대란? 잔대는 잔대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데요. 전세계에 대략 45-50종이 있으며 한국에서도 자랍니다. 잔대는 3월 초에서 4월말이 제철입니다. 줄기를 꺽으면 하얀색 액체가 나오는게 특징이며 잔대의 다른말로 사삼이라고도 불립니다. 인삼과 비슷해서 붙여졌다는 말이 유력합니다. 잔대는 인삼과 비슷하기때문에 그냥 씹어드시는분들도 있고, 인삼과 달리 맛이 단맛이 있기에 어르신들은 산에가서 과자처럼 먹던 식물이였습니다. 인삼주라고 있죠? 잔대도 술에 담가서 드시거나 가루로 만들어 물에 타서 드시는 분도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그냥 인삼에서 사용되는 용도와 거의 80% 유사하다고 보시면됩니다. 가루로 만들어서 드시면 하루 15-20그램을 물에 달여서 드시면 됩니다. 참 잔대를 보면 땅..
■ 치자란? 치자 치자나무 치(梔)에 씨앗 자(子)를 합쳐서 梔子라고 불려집니다. 일단 치자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높이가 크면 대략 2m정도 자랍니다. 치자나무의 씨앗을 약재로 사용되며, 치자의 꽃은 흰색을 띠며 모양도 특이하기 때문에 집안의 화단이나 울타리에 심기도 합니다. 또한 꽃향기도 그윽해서 그 향기가 좋아서 키우시디고합니다. 꽃은 6월 중순에서 7월 초에 피고,채취는 10월에 합니다. 참고로 치자나무는 치자,좀치자,겹치자,산치자 등으로도 불려집니다. ■ 치자의 성미 및 성분은 무엇이 있을까? 치자의 성미는 '맛은쓰고 약성은 찬성질을 가진다'라고 합니다. 따라서 찬기운의 반대인 따뜻한 기운을 보충해야하는 사람...가령 임산부는 먹으면 좋지 않습니다. 성분은 열매에는 쿠마린, 프소랄렌, 노랑색을 ..
■ 비단풀이란? 비단풀은 농약을 조금이라도 쓰면 금방 시들어버리는 귀한 약초인데요. 주로 진도지방에서 잘자랍니다. 쌍떡잎식물 대극과의 한해살이풀이며, 대극속은 전세계에서 1600종이 자랍니다. 국내에서는 대략 10-11종이 있습니다. 비단풀이라는 말은 '비단처럼 곱게 덮는다'하여 비단풀이라 불려지고, 전문채취꾼이나 시골지역 분들은 땅빈대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땅빈대와 비단풀은 같은말이지요. 음...모양새가 쇠비름하고 비슷한데 비단풀의 효능과는 차이가 있죠. 필자가봐도 헷갈려서 차이점을 알아봤는데 비단풀은 잎사귀와줄기가 얇은반면 쇠비름은 줄기도 굵고, 잎사귀도 선인장두께로 둥근모양을 하고 있다고하네요. 참고바랍니다.■ 비단풀의 효능 및 성분은 무엇일까? 먼저 성분을 알아보면 주요된 성분이 사포닌이라는 성분..
일어났다. 밥먹었다. 세차했다. 기름주유했다. 핸드폰은 만졌다. 심심하다 컴퓨터켰다. 게임했다. 재미없다. 티비봤다. 먹방나온다. 배고프다. 밥먹었다. 배부르다. 잠이온다. 잠잔다. 끄~~읏~
근래들어 견과류를 섞어 파는 제품을 마트에서 흔히볼 수 있습니다. 그 견과류 중에 캐슈넛이란 견과류가 있는데요. 주로 견과류를 섞어서 파는 제품에 바나나 또는 곡옥같은 모양을 하는 캐슈넛입니다. 이번에는 캐슈넛이란 무엇이고 캐슈넛 효능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 캐슈넛이란? 캐슈넛.. 견과류이며 옻나무과에 속하는 캐슈나무 씨앗입니다. 주로 생산지가 인도 또는 베트남이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국내에서 수입해서 판매되는 견과류중에 하나입니다. 서두에서 얘기햇듯이 바나나모양을 하고 있으며 땅콩같은 색을 하는게 특징입니다. 이 견과류도 마카다미아 처럼 단백하고 고소한 맛이 나는데요. 크기도 다른 견과류에 비해 크기 때문에 씹어먹기 딱 좋은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잇습니다. 캐슈넛도 각종요리에 쓰이며 국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