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니로 기변 DSLT의 성능에 대한 호기심... 필자는 캐논 카메라만 계속 사용해왔다. 얼마전에 소니 DSLT의 리뷰를 보고 한번 구매해보기로 했다. DSLR와DSLT가 차이가 있는데 카메라 전면부의 거울이 올라가냐? 안올라가냐? 이 차이이다. 사소한것 같지만 이걸로 인해 큰 차이를 보인다. 거울이 올라가면서 찍는 DSLR의 방식은 뷰파인더로 볼때 실제와 동일한 상을 볼수 있다. 이걸 광학식 뷰파인더라 부른다. 광학식 뷰파인더가 사실적으로 보이는 반면에 촬영후 사진 결과물을 봤을때는 생각한것과 많이 다르다. 이와 반대되는 방식은 전자식 뷰파인더인데 DSLT 사용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전자식 뷰파인더란 말그대로 사실적인 상을 보는게 아니고 전자적으로 보는 개념이다. 뷰파인더에 조그마한 LCD 모니터를..
■ 콩알같이 생긴 렌즈 시그마 28-70 필자가 시그마 28-70 렌즈를 접한 이유는 단순히 호기심이였습니다. DG[풀프레임 지원]이며 28mm에 F2.8이라는 밝은 조건 때문에 얼마나 좋은지 궁금했구요. 참고로 시그마 렌즈중 가장 싼 렌즈가 이 렌즈입니다. 하지만 중고 제품이 많이 보이질 않습니다. 왜 인기가 없을까? 일단 OS나 HSM이 없고, 단순히 조리개만 좋다는 이점입니다. 전구간에서 소프트한게 있습니다. 선예도를 따지면 좋지 않겠지만 인물 촬영시 자연적으로 부드러운 효과를 줄 수 있으므로 그리 나쁜렌즈는 아닙니다. 모든 것에는 다 사용용도가 있는법이지요. 머든지 사진을 찍을려면 먼저 무엇을 찍을 것인지 화각을 얼마정도 할것인지 정해야하죠. 28-70mm 화각이면 준광각에서 준망원까지 화각이며 ..
■ 캐논의 보급기 일명 '영웅바디' 캐논 550D 출시당시만해도 영웅바디라고 불려졌던 기기이다. 550D의 세부 특징은 무엇이길래 영웅바디라 하는걸까? 카메라 초급자분들은 그리 세세하게 몰라도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래도 어떤게 지원되는지는 알아야 된다. 일단 550D가 영웅바디라고 불렸던 이유는 가격대비 성능이 좋아서 그랬다. 음..이전 모델인 500D는 동영상기능이 어중간 했고, 여러기능이 업그레이드 된게 550D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70D까지 나오는 이 마당에 550D가 설자리는 잃어가고 있다. DSLR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카메라 바디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은걸 안다. 이유는 어짜피 센서화소가 높아도 주로 웹상에 공유를 하기위해 크기를 줄이기 때문에 업로드 되는 크기는 일정하다고 볼 수있다..
■ 캐논 60D의 등장. 플라스틱바디? 내구성? 필자가 캐논 카메라중에 가장 오래쓴 카메라가 캐논 60D 였다. 캐논 50D까지는 동영상쵤영이 지원이 안됐던터라 중급기종 中 동영상이 지원이 되는 60D를 선정하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요즘 카메라 시장은 불경기기 때문에 새로운 재품을 만들려고 끈임없이 카메라 제조 회사들은 노력해오고 있다. 캐논도 마찬가지인데 현재 캐논 70D까지 나왔다. 이전까지는 중급기종이 캐논 60D였는데, 당시로는 어중간한 성능, 플라스틱바디라는 이유로 많은 사진쪽에 있는 사람들이 기피하는 기종이기도 했다. 또한 플라스틱바디라서 구매를 안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카메라는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왠만하면 스트랩을 달거나 떨어뜨리지 않는다. 내구성이 오래못간다? 그건 몇 십년이 ..
굶으면 걸린다는 결핵입니다. 필자도 2008년도에 걸려서 보통 6개월이면 되는데 1년동안 치료 받았네요. 보통 결핵걸리면 사람들이 '밥 안먹어서 그렇구만' '굶어서 그런거야~' 라는 비아냥이 있는데요. 꼭 굶어서 걸리는게 아니랍니다. 전염이 되었었을수도 있고, 몸에 있는 비활동성 결핵균이 활동성 결핵균으로 변해서 그럴수 도 있답니다. 이 결핵 초기증상 및 위험성에 대해 알아봅시다. - 결핵이란? 결핵이란 多종류의 미코박테륨, 또는 결핵균에 감염되어 발병되는 전염병입니다. 기침으로 전파 될 수 있으며, 결핵에 대한 역사는 bc7000년에도 있을정도로 오래되었습니다. 21c가 오기전까지는 치료약이 딱히 없었기 때문에 근래의 사스 또는 옛날의 흑사병과 같은 치명적인 병이였습니다. 하지만 치료약이 생기면서, 치..
우리 나라는 일본식 교육의 잔재가 많이 남아 있는데요.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반문화입니다. 빠르면 유치원때부터 어떤 반에 속한 단체생활을 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초중고를 대화서 이제 갓 대학 신입생이 되면, 갑작스럽게 개방된 인간관계에 당황하게 됩니다. 그래서 아싸탈출법을 고민하고 있는 분들도 대학생이 대부분이라고 생각되는데요. 저도 비슷한 고민을 했던 한 사람으로써 저의 과거경험에 근거하여 도움이 되어 드리고자 합니다.■이상과 현실을 구분하자.우선 대학에 들어가면 나도 여친이나 남친이 생길 것 같고, 방송에 나오는것 처럼 재미있고 화려한 대학생활을 할 것 같지만, 입학해보니 실제는 그렇지 못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죠. 현실은 그냥 외톨이이고 아싸입니다. 왜 그럴까요? 무엇이 문제길래 아싸탈출법을 나는 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