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백초과에 속하는 어성초입니다. 주로 목욕용품과 화장품에 사용되는데요. 주로 바르는 용품에 사용되는 이유는 최근에 아토피에 좋다는 말이 나돌아서입니다. 어성초 효능이 아토피에 도움이 된다는 말이 있어서 최근 들어 많이 관심을 가지지만 사실 어성초는 예로부터 잡초로 취급했습니다. 뚱딴지와 비슷하게 번식력이 강하고 강한 생명력으로 한번 자라면 번식에 끝이(?) 없는 식물이기도 합니다. 뚱딴지 처럼 밭을 일굴 때 제초작업을 해서 어성초를 사전에 제거하는데요. 그래도 작물이 자라다보면 옆에 자라는게 어성초이기도 합니다.;; a. 어성초란? 국내에서는 어성초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이명(異名)으로 약모밀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어성초는 물고기 어[魚] 비릴 성[腥] 풀 초[草]를 합친 단어인데요. 즉, '물고기의 ..
Saururus chinensis를 학명을 가진 삼백초입니다. 주로 습한 지대에서 잘 자라는데요. 강가나 물가에서도 잘 자랍니다. 이런 삼백초 효능으로는 장내환경을 개선하고 유익균을 증가시키며 변을 잘 보게 해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참고로 삼백초는 국내 한방서적에는 기록이 거의 없습니다. 중국의 당본초[또는 본초도감]에 기록이 있습니다. a. 삼백초란? Saururus chinensis학명과 三百草라는 한명을 가집니다. 이명으로 수목통(水木通) 또는 천성초(天性草)라는 이름이 있지만, 많이 알려져 있는 단어는 삼백초(三百草)입니다. 주로 중국에서 많이 자라지만 국내에서도 재배하는 곳도 있습니다. 주로 남쪽지방에서 재배하는데 경북 영천이 대표적입니다. 삼백초가 다 자라면 키는 대략 60-70cm정도로 자라..
장미과에 속하는 여름철 과일이 살구입니다. 영명으로 Apicot라부르고 이명으로 행인(杏仁), 덕아(德兒), 행자(杏子)라고 부릅니다. 이런 살구 효능을 보면 동맥경화나 당뇨병 예방에 좋습니다. 또한 한방에서는 행인(杏仁)이라고 부르고 약재로 사용되어 왔는데 이런 살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a. 살구란 ? 살구의 원산지 ? 살구의 원산지는 중국이며 약 4000년대부터 재배되어 왔습니다. 살구열매와 비슷한게 매실인데요. 크기가 살구가 매실보다 약간 큽니다. 음..살구가 탁구공이라면 매실은 골프공이랄까? 머..그리 차이는 안납니다. 하하; 매실나무의 꽃은 분홍색의 꽃이 피고, 맛은 시면서 단맛이 납니다. 참고로 국내에서 재배되는 살구는 여타 자두나 복숭아, 사과 같은 열매보다 단맛이 강하지 않아 머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