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느삼이라고 불려지는 식물은 콩과의 속하며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콩과에 속하기 때문에 콩과 유사한 성분이 많으며, 맛은 쓴맛이 납니다. 고삼효능으로는 항산화 작용, 해열, 이뇨작용으로 붓기를 가라앉히고 노화방지에 도움을 주는데요. 주로 사용하는 부분은 뿌리부분이며 뿌리의 형태가 굵기 때문에 칡같아보이기도 합니다. 줄기는 가늘며 잎은 긴타원형 모양을 합니다. 주로 양지바른 땅에서 자라는데 자주보이는곳이 산기슭에서 많이 보입니다. 본초강목에서는 '자주 섭취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않으며, 눈이 밝아 진다'라고 했습니다. 따라서 성분이 자양강장*시력강화*노화방지(항산화) 성분이 있겠다 어느정도 유추 할수 있지요. * 고삼의 성분 및 효능은 무엇일까? 이제 고삼의 성분 및 고삼효능 관련하여 알아봅시다. 먼저..
벛나무속 장미과에 속하는 자두 입니다. 이명으로 오얏나무 리[李], 리실[李實]이라고 부르는데 이런 자두효능으로는 갈증해소 및 해열에 도움을 줍니다. 자두는 단맛이 강하며 날것으로 먹기도 하지만 잼이나 젤리의 원료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기 계통을 원할하게 해줍니다. 칼로리는 100g 약 46Kcal 정도를 가집니다.한명으로 오얏나무 이[李]라고 부르는데 조선왕조의 국성과 동일하기에 조선왕조의 상징이 되는 나무이기도 했습니다. 한편 영문으로 Plum, 말린자두는 Prune라고 부르지요. 참고로 푸룬같은경우 '서양 자두' 또는 '서양 말린 자두'라고 부르는데 최근에는 자두라는 말보다 푸룬이라는 명칭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푸룬도 자두의 일종입니다. 다른종이 아닙니다. 허허..
삼백초과에 속하는 어성초입니다. 주로 목욕용품과 화장품에 사용되는데요. 주로 바르는 용품에 사용되는 이유는 최근에 아토피에 좋다는 말이 나돌아서입니다. 어성초 효능이 아토피에 도움이 된다는 말이 있어서 최근 들어 많이 관심을 가지지만 사실 어성초는 예로부터 잡초로 취급했습니다. 뚱딴지와 비슷하게 번식력이 강하고 강한 생명력으로 한번 자라면 번식에 끝이(?) 없는 식물이기도 합니다. 뚱딴지 처럼 밭을 일굴 때 제초작업을 해서 어성초를 사전에 제거하는데요. 그래도 작물이 자라다보면 옆에 자라는게 어성초이기도 합니다.;; a. 어성초란? 국내에서는 어성초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이명(異名)으로 약모밀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어성초는 물고기 어[魚] 비릴 성[腥] 풀 초[草]를 합친 단어인데요. 즉, '물고기의 ..
Saururus chinensis를 학명을 가진 삼백초입니다. 주로 습한 지대에서 잘 자라는데요. 강가나 물가에서도 잘 자랍니다. 이런 삼백초 효능으로는 장내환경을 개선하고 유익균을 증가시키며 변을 잘 보게 해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참고로 삼백초는 국내 한방서적에는 기록이 거의 없습니다. 중국의 당본초[또는 본초도감]에 기록이 있습니다. a. 삼백초란? Saururus chinensis학명과 三百草라는 한명을 가집니다. 이명으로 수목통(水木通) 또는 천성초(天性草)라는 이름이 있지만, 많이 알려져 있는 단어는 삼백초(三百草)입니다. 주로 중국에서 많이 자라지만 국내에서도 재배하는 곳도 있습니다. 주로 남쪽지방에서 재배하는데 경북 영천이 대표적입니다. 삼백초가 다 자라면 키는 대략 60-70cm정도로 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