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다래란? 개다래.. 또는 목천료라고 불려지는데요. 개다래는 나무에서 자라는 열매 또는 잎을 사용하는데요. 동양의 고서에서는 개다래나무 줄기 및 잎, 뿌리, 열매등 두루두루 사용했습니다. 주로 열매를 사용하며 열매는 8-9월에 수확합니다. 개다래나무에서 특이한게 충영이라고 불리는게 있습니다. 그 부분은 다음란에서 좀더 자세하게 다뤄보구요. 개다래 효능을 주로보면 신장을 튼튼히하고 통풍을 다스린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아는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주로 고양이나 동물의 흥분작용을 일으키는 열매로 알고 있습니다. 친구말에 의하면 개다래 열매만 옆에 갖다대도 호기심에 먹었다가 발정(?)한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호기심에 하면 고양이에게 미안한 행동이라는거 다들 아시죠? 참고로 고양이가 발정(?)..
■ 우엉이란? 우엉은 국화과,두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에서 서부 아시아일대이며 유럽, 시베리아, 만주등지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지방에서는 우엉을 식용하지 않으나 중국, 일본에서는 고대부터 재배하여 사용하였으며 사포닌 같은 성분으로 건강식으로 차로 다려먹었다고 합니다.우엉은 뿌리 채소의 대표적인 식품입니다. 아삭아삭하게 씹히는 맛과 독특한 향으로 섬유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변비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본초강목에서는 '우엉은 오장의 나쁜사기를 제거 및 손발의 허약함, 중풍,각기,가래를 치료하고 하복부 내장의 통증을 줄여준다’고 합니다. 이처럼 우엉은 예로부터 많이 사용되는 식물이 였죠. 우리나라에서는 차로 시중에 많이 판매되어 있습니다. OO 우엉차 또는 여러 식물을 섞은 차 함량을 보면 우엉은 대부..
■ 야관문이란? 야관문은 비수리라고 불리는 약초입니다. 콩과 싸리속과에 속하며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인도 등에 널리분포되는 식물이지요. 주로 산기슭이나 들판, 강가에서 잘자랍니다. 키는 대략 1미터 정도 자라며, 가지는 부드럽가 가늘게 되어 있습니다. 보통 9월 초에서 10월 중순까지 채집해서 햇볕에 말려서 약재로 사용됩니다. 음...약재시장에가면 야관문은 말린약재로 진열되어 있지요. ■ 야간문효능 및 성분은 무엇이 있을까? 페놀, 탄닌, 플라보노이드류, 시토스테롤, 피니톨 같은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탄닌 및 페놀성분으로 항산화 작용이 있을거고, 플라보노이드류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주로 퀘르세틴, 비텍신, 켐페롤등이 있습니다. 이런 플라보노이드류 성분은 신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혈행을 개..
필자는 어렷을때 산에 올라가 갈근을 캐서 먹곤했는데요. 그때 당시에는 먹을게많지 않았고, 과자도 사먹기에는 부담이되서 많이 먹었습니다. 갈근은 처음에는 쓰지만 계속 씹게되면 달달하며,약간 흙냄새도 나는 천연(?)과자입니다. 한방에서는 갈근이라고 하는데요 동의보감에서도 나올정도로 약재로 사용되기도한 다용도의식물입니다. 갈근효능 관련하여 알아봅시다. ■ 갈근이란 무엇일까? 갈근은 칡의 뿌리를 갈근이라고 합니다. 한방에서는 칡이라고 사용하기보다는 갈근으로 불려지지요. 일단 갈근효능을 보기전에 갈근이 어떻게 자라고 채취되는지 알아야봅시다. 먼저 칡이란 쌍떡잎식물 장미목콩과의 덩굴식물이며, 일본발음을 토대로 'kudzu'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본어는 한국어로 말하면 '쿠즈'くず라고 말합니다. 다년생 식..
■ 빌베리란? 빌베리 영문으로 bilberry라 불려지는데요. 또는 호와토루베리, 윈베리, 브레베리, 유럽 블루베리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이 베리는 아로니아와 생김새가 유사한데요. 성분도 비슷합니다. 아로니아에 비해 많지 않지만 안토시아닌이 있어 시력회복에 좋습니다. 머...달달한 맛에 서양에서는 예로부터 잼이나 주스, 파이 요리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래서 수요가 많을것으로 보이지만 빌베리는 다른 베리보다 키우는게 어려워 재배하는 곳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대표적인데가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아이슬란드이지만 재배되는 곳보다는 야생에서 채취된 빌베리가 많다고 해야하나...그렇습니다. ■ 안토시아닌 때문에 눈에 좋다? 시력에 좋다? 최근에 티비를 보면 드문드문 주로 보라색을 띄는 베리들은 안토시아닌이 ..
■ 환삼덩굴이란? 환삼덩굴은 뽕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입니다. 중국에서는 뤼-차오- 라고 하는데요. 율초라고도 불립니다. 주로 들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인데요. 줄기 및 잎에 잔 가시가 있어 만지면 거친 느낌을 가집니다. .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져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처럼 파여있는부분이 있습니다. 환삼덩굴이 사용되는 부위는 주로 줄기의 껍질(섬유의 원료로 사용), 열매, 열매가 달린 전초(대표적인게 이뇨제)등이 있습니다. 분포되는 지역은 한국, 중국, 일본, 넓은 아시아 지역에 많이 분포됩니다. 참고로 시골가면 환삼덩굴은 농부들에게는 귀찮은 식물이기도 합니다. 서두에서 적어놨듯이 촉감이 거칠고 잔가시가 있어서 음...머라해야하나 살과 가시가 부딧치면 사포를 긁는 느낌이라할까 여튼 따끔합니다. 또한 ..